반응형

클러스터링(Clustering)은 데이터를 유사성에 따라 여러 그룹(클러스터)으로 나누는 비지도 학습 기법입니다. 레이블 없이 데이터 내의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자연스러운 그룹을 형성합니다. 주요 클러스터링 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클러스터링 방법들

1. K-Means

K-Means는 데이터를 K개의 클러스터로 나누고, 각 클러스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데이터 포인트를 할당하는 알고리즘입니다. 반복적으로 클러스터 중심을 재계산하며 수렴할 때까지 수행됩니다.

  • 장점: 빠른 계산 속도, 대규모 데이터에도 적합.
  • 단점: 클러스터 개수(K)를 미리 지정해야 하며, 구형 클러스터에 적합.

2. DBSCAN

DBSCAN은 밀도 기반 클러스터링 방법으로, 밀도가 높은 지역을 클러스터로 형성하며, 밀도가 낮은 포인트는 노이즈로 간주합니다.

  • 장점: 클러스터 개수를 미리 알 필요 없고, 노이즈 처리 가능.
  • 단점: 밀도 차이가 큰 클러스터는 분리하기 어려움.

3. 계층적 클러스터링

계층적 클러스터링은 데이터를 병합적(아래에서 위로) 또는 분할적(위에서 아래로) 방식으로 계층적으로 클러스터링하는 방법입니다.

  • 장점: 덴드로그램을 통해 계층 구조를 분석할 수 있음.
  • 단점: 큰 데이터에서는 계산 비용이 큼.

4. 가우시안 혼합 모델 (GMM)

GMM은 각 클러스터가 가우시안 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고, 데이터를 확률적으로 클러스터링합니다.

  • 장점: 비구형 클러스터에 적합, 확률 기반 클러스터링 제공.
  • 단점: 클러스터 개수를 미리 지정해야 하고 초기화에 민감함.

5. K-Medoids

K-Means와 유사하지만, 중심점을 **실제 데이터 포인트(Medoid)**로 지정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이상치에 더 강합니다.

  • 장점: 이상치(outlier)에 강하며, 중심이 실제 데이터 포인트이므로 해석이 용이.
  • 단점: 계산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음.

클러스터링 방법 비교

방법 특징 장점 단점
K-Means 데이터를 K개의 클러스터로 나눔 계산 속도가 빠름, 대규모 데이터에 적합 클러스터 개수(K)를 미리 지정해야 함, 구형 클러스터에만 적합
DBSCAN 밀도 기반 클러스터링, 노이즈 처리 가능 클러스터 개수를 몰라도 됨, 노이즈 데이터 처리 가능 밀도 차이가 큰 경우 성능 저하
계층적 클러스터링 병합적, 분할적 방식 모두 사용 가능 클러스터 개수 미리 알 필요 없음, 덴드로그램 제공 계산 비용이 큼
가우시안 혼합 모델(GMM) 각 클러스터를 가우시안 분포로 모델링 비구형 클러스터에 적합, 확률 기반 클러스터링 클러스터 개수를 지정해야 함, 초기화에 민감
K-Medoids K-Means와 유사하나, Medoid 사용 이상치에 강함, 중심이 실제 데이터 포인트 계산 비용이 높음

추가로 알아야 할 사항

1. 차원의 저주(Curse of Dimensionality):

차원이 높아질수록 데이터 간 거리가 증가해 클러스터링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차원이 높은 데이터에서는 차원 축소(Dimensionality Reduction) 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중요한 정보를 유지하면서 차원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PCA 또는 t-SNE 같은 기법이 자주 사용됩니다.

2. 차원 축소와의 결합:

차원 축소 기법은 클러스터링을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PCA는 데이터를 선형적으로 변환해 차원을 축소하며, t-SNEUMAP은 비선형적 변환을 통해 데이터를 저차원 공간으로 시각화하여 클러스터링을 돕습니다.

3. 노이즈와 이상치 처리:

고차원 데이터나 복잡한 데이터셋에서는 **이상치(outliers)**가 클러스터링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DBSCAN 같은 알고리즘은 노이즈 데이터를 잘 처리하지만, K-Means는 이상치에 민감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노이즈 처리 방법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클러스터링 성능 평가: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는 지표로는 실루엣 계수(Silhouette Coefficient), 엘보 방법(Elbow Method), 군집 내 분산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를 사용해 클러스터링 성능을 평가하고, 최적의 클러스터 수를 찾을 수 있습니다.

5. 초매개변수 최적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의 성능은 **초매개변수(hyperparameters)**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K-Means에서 K 값이나 DBSCAN의 반경 및 최소 이웃 수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값은 실험을 통해 최적화해야 합니다.


결론

다양한 클러스터링 기법은 데이터의 특성과 분석 목적에 따라 선택될 수 있습니다. 특히, 다차원 데이터의 경우 차원 축소 기법을 사용해 클러스터링 성능을 향상시키고, 노이즈와 이상치 처리에 유의해야 합니다.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초매개변수 최적화와 성능 평가를 통해 최적의 클러스터링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Data Science > machine lear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러닝이란  (3) 2024.09.28
차원 축소(Dimensionality Reduction)의 정의  (0) 2024.09.28
분류(Classification)란?  (2) 2024.09.27
회귀(Regression)의 정의  (3) 2024.09.27
머신러닝의 정의와 기초 개념  (1) 2024.09.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