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u (substitution user)는 리눅스 내에서 user를 바꾸는 명령어다.

 

su [user] 를 사용함으로 해당 유저로 변경 가능하다.

 

su는 user를 바꾸기만하고 대부분의 환경 변수는 이전 user의 것을 따라간다.

 

su-는 유저를 바꾼 후 다시 shell에 접속한다. 즉 환경변수가 새로운 user의 것으로 바뀐다.

 

번외로 su 이후에 user아이디를 입력하지 않으면 root로 접속하겠다는 의미이다.

반응형

'Computer Scienc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Zip 압축하기 / 압축 해제하기  (0) 2020.02.24
crontab 사용하기  (0) 2020.02.21
Linux 새 디스크 연결하기  (0) 2019.08.30
Centos7 네트워크 설정  (0) 2019.08.27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  (0) 2019.08.27
반응형

데이터 백업을 위해 외부 HDD를 연결하는데 새 HDD라면 파티션부터 다시 잡아줘야 할 필요가 있다.

 

먼저 연결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fdisk -l


가장 마지막에 연결한 장치가 밑에 나오게 되며 대략 아래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

Disk /dev/sdb: 36002.0 GB, 36002026487808 bytes, 70316457984 sectors
Units = sectors of 1 * 512 = 512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262144 bytes / 1048576 bytes
Disk label type: gpt

해당 장치가 맞는지 용량을 보고 확인하자.

 

장치가 맞다면 파티션을 나누고 포맷을 해야한다.

 

parted /dev/sdb 

장치 명은 위에서 확인한대로 진행

 

(parted)mklabel gpt
(parted)mkpart primary 0 100%

Warning: The resulting partition is not properly aligned for best performance.
Ignore/Cancel?
I

파티션을 여러개로 나눠서 따로 저장할 수 있지만 데이터 백업용 디스크는 그렇게 할 필요가 없다.

 

(parted)p

제대로 진행되었는지 확인

 

(parted)q

제대로 파티션이 나누어 졌다면 종료.

 

 

mkfs.ext4 -f /dev/sdb1

ext4 포맷으로 sdb장치의 1번 파티션을 포맷한다. 

 

 

 mount /dev/sdb1 /data

sdb장치의 1번 파티션을 /data 폴더에 마운트 시킨다.

 

 

반응형

'Computer Scienc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ontab 사용하기  (0) 2020.02.21
su 와 su- 의 차이  (1) 2019.09.19
Centos7 네트워크 설정  (0) 2019.08.27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  (0) 2019.08.27
비밀번호 없이 ssh로 로그인하기  (0) 2019.08.26
반응형

 

nmcli d 명령을 사용해 이더넷 장치명과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서버에서는 4+1개의 소켓이 있으며 1,2에 각각 랜선을 꽂아놨기기 때문에 위와같이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

 

위 경로로 들어가면 각각의 디바이스 별로 설정값이 저장된 파일이 있으며

 

유동 IP의 경우 ONBOOT=yes 로 수정하기만 하면 된다.

 

고정 IP의 경우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IP를 직접 입력해 주어야 한다.

 

ONBOOT=yes
IPADDR=10.20.30.41
PREFIX=24
#NETMASK=255.255.255.0
GATEWAY=10.20.30.254
DNS1=168.126.63.1
DNS2=168.126.63.2

 

반응형

'Computer Scienc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 와 su- 의 차이  (1) 2019.09.19
Linux 새 디스크 연결하기  (0) 2019.08.30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  (0) 2019.08.27
비밀번호 없이 ssh로 로그인하기  (0) 2019.08.26
linux 계정 정보 옮기기  (1) 2019.08.21
반응형

/etc/hosts 파일을 참고하여 네임서버를 아이피주소로 바꾼다.

 

 

127.0.0.1   localhost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4 localhost4.localdomain4 
::1         localhost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6 localhost6.localdomain6 

192.168.7.11 server1
192.168.7.12 server2
192.168.7.13 server3


ip와 네임서버 사이에는 \t이 들어가야 한다.

 

변경 후에 network 서비스를 재시작 해야한다.

 

systemctl restart network
반응형
반응형

RSA key를 이용하여 비밀번호 없이 ssh로 로그인할 수 있는 방법이다.

 

rsa key 값을 생성해야함. 기존에 이미 생성되어있다면 덮어쓰기는 하지 않는것을 권장한다.

 

ssh-keygen -t rsa

~/.ssh/id_rsa는 개인키, ~/.ssh/id_rsa.pub은 공개키로 생성된다.

 

생성된 key 파일을 비밀번호 없이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로 보내면 된다.

 

ssh-copy-id -i ~/.ssh/id_rsa.pub [user]@[host]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면 비밀번호 없이 접속되어야 하지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뜨는 경우가 있다.

 

@@@@@@@@@@@@@@@@@@@@@@@@@@@@@@@@@@@@@@@@@@@@@@@@@@@@@@
@         WARNING: UNPROTECTED PRIVATE KEY FILE!          @
@@@@@@@@@@@@@@@@@@@@@@@@@@@@@@@@@@@@@@@@@@@@@@@@@@@@@@
Permissions 0755 for '/home/adlkf/.ssh/id_rsa' are too open.
It is required that your private key files are NOT accessible by others.
This private key will be ignored.

 

id_rsa 파일의 권한이 사용자 외에도 공개되어있어서 이를 바꿔줘야한다.

 

chmod 700 ~/.ssh/

 

 

반응형
반응형

root 권한이 필요함

 

새 서버에서 기존 파일들을 백업.

/etc/shadow

/etc/gshadow

/etc/passwd

/etc/group

 

옛날 서버에서 위으 파일들을 scp로 복사해옴.

 

계정 아이디와 비밀번호는 옛날 서버와 동일하지만 아직 홈 폴더가 존재하지 않음.

 

홈 폴더도 마찬가지로 복사해서 가져오거나 기존 파일들 백업하기 전에 미리 생성해놨다가 덮어씌워야함.

 

반응형
반응형

tar 디렉토리 지정해서 압축 풀기




원하는 경로에 압축을 풀고싶다면 아래처럼 입력하면 된다.


tar zxvf file.tar.gz -C path


해당 폴더에 파일을 바로 압축을 풀어주니 미리 빈 폴더를 생성하고 그 폴더 안에 푸는것이 좋을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

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남기고 모두 지우기



file.txt라는 이름의 파일을 남기고 나머지를 모두 지우기.


find . ! -name 'file.txt' -type f -exec rm -f {} +



디렉토리라면 type을 d로 바꾸고 rm 에 recursive 옵션을 추가하면 된다.


find . ! -name 'file.txt' -type d -exec rm -rf {} +

* 주의사항 

위의 디렉토리만 남기고 모두 지우기는 디렉토리 안의 파일도 모두 지움

디렉토리 수준에서만 적용하고 싶다면 아래처럼 사용한다


find . -maxdepth 1 ! -name 'file.txt' -type d -exec rm -rf {} +
depth제한을 둠으로써 하위 폴더로 내려가지 않고 현재 폴더에서만 적용.


여러 개의 파일을 남겨놓고 싶다면 아래처럼 추가 할 수 있다.


find . ! -name 'file.txt' ! -name 'file2.txt' -type f -exec rm -f {} +


Reference -

https://unix.stackexchange.com/questions/153862/remove-all-files-directories-except-for-one-file

반응형

'Computer Scienc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계정 정보 옮기기  (1) 2019.08.21
tar 디렉토리 지정해서 압축 풀기  (0) 2018.10.04
리눅스에서 프록시 설정하기  (0) 2018.07.26
neocomplcache vim plugin 설치하기  (0) 2018.07.12
samba 설정하기  (0) 2018.02.02
반응형

리눅스에서 프록시 설정하기




외부로 연결되는 서버 A가 있고 이 서버를 통해서 연결할 수 있는 내부만 연결이 되어 있는 서버 B에서 작업할 때 프록시 설정을 해 놓으면 A서버가 중개해서 B서버가 외부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B서버의 .bash_profile 안에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

#proxy setting
export http_proxy=http://[ID]:[PASSWORD]@ip:port/
export https_proxy=http://[ID]:[PASSWORD]@ip:port/
export ftp_proxy=http://[ID]:[PASSWORD]@ip:port/

ID와 password가 A서버와 B서버가 동일하다면 생략해도 되며 ip와 port는 반드시 넣어주어야 한다.

port는 proxy의 기본 port number가 3128라서 따로 설정하지 않았다면 3128을 넣으면 된다.



반응형
반응형

neocomplcache vim plugin 설치하기




neocomplcache는 autocomplpop과 비슷한 자동완성 플러그인이다. vim에서 작업할 때 변수명이 길어지거나 외부 폴더 경로를 잡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미 선언한 변수도 가능하며



폴더에도 아래처럼 적용 가능하다.


아래의 목록이 떳을 때 방향키로 선택 후 엔터를 누르면 바로 적용된다.


설치 방법은 vim 플러그인 매니저를 사용하지 않고 메뉴얼하게 설치하는 방법만 설명하기로 한다.


git 저장소의 위치는 아래와 같다


https://github.com/Shougo/neocomplcache.vim


다운로드 후 폴더를 열면 autoload, doc, plugin README.md 등의 파일이 존재한다.


이 폴더들은 그대로 ~/.vim/ 아래에 붙여넣으면 설치는 끝난다.



설치 후에 플러그인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째는 vim 실행 후 명령 모드에서 아래 명령을 실행하는 것이며


NeoComplCacheEnable


두번째는 ~/.vimrc에 아래와 같은 명령을 작성하는 것이다.


vimrc파일이 없다면 생성하면 된다.


let g:neocomplcache_enable_at_startup = 1


첫번째 방법은 vim을 실행할 때 마다 입력해줘야 적용이 되고 vimrc에 작성하는 방법은 vim을 실행할 때 마다 vimrc파일을 읽으면서 플러그인을 적용시키는 방법이다.



반응형

'Computer Scienc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남기고 모두 지우기  (0) 2018.09.03
리눅스에서 프록시 설정하기  (0) 2018.07.26
samba 설정하기  (0) 2018.02.02
awk 응용하기!  (0) 2017.10.18
MPC 설치하기  (0) 2017.09.19

+ Recent posts